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연결
- 설치
- 배열
- 저지
- 자바스크립트
- BAEKJOON
- Framework
- online
- mariadb
- 이클립스
- 연동
- 오픈한글
- Tornado
- r
- 파이썬
- 토네이도
- r script
- API
- MongoDB
- ubuntu
- 알고리즘
- 자료형
- 프레임워크
- AWS
- 백준
- OrientDB
- Python
- Java
- spring
- Judge
Archives
- Today
- Total
맛동산
redirect와 response객체의 사용 본문
@RequestMapping(value="/join", method=RequestMethod.POST) public ModelAndView join(@ModelAttribute("vo") JoinVO vo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throws IOException{ if(commonService.checkEmail(vo.getEmail()).isEmpty()==true){ response.setContentType("text/html;charset=UTF-8"); PrintWriter out = response.getWriter(); out.println("<script>"); out.println("alert('이미 존재하는 이메일입니다.')"); out.println("history.back()"); out.println("</script>"); } if(joinService.Join(vo)>=1){ return new ModelAndView("redirect:/"); }else{ return new ModelAndView("redirect:error","code",704); // 회원가입에 문제 } }
'Web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소에 패키지명 안따라오게 하려면 (0) | 2017.06.06 |
---|---|
Controller에서 Controller로 이동할때 (0) | 2017.05.11 |
Controller에서 RequestMapping등 케이스(chap05) (0) | 2017.05.11 |
스프링 핵심만 정리(ing) (0) | 2017.05.11 |
Simple Spring Maven에서 스프링 컨테이너 사용-2 (0) | 2017.03.1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