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BAEKJOON
- 연결
- Framework
- API
- r
- 저지
- AWS
- Java
- Tornado
- Judge
- 파이썬
- ubuntu
- 자료형
- Python
- 백준
- 배열
- 오픈한글
- 설치
- 프레임워크
- 토네이도
- spring
- r script
- online
- 알고리즘
- OrientDB
- 연동
- MongoDB
- mariadb
- 이클립스
- 자바스크립트
- Today
- Total
맛동산
지난글(OrientDB with Python - OrientDB 설치)에서 OrientDB설치와 studio 접속법을 다뤄봤습니다. 이번엔 studio의 간단한 사용법을 작성하겠습니다. localhost:2480에 접속하면 로그인 페이지에서 New DB라는 주황색 버튼을 볼 수 있습니다.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modal이 뜨는데 database의 이름, user, password를 입력하고 create database를 실행합니다. 부가적으로 설명하자면 Storage Type의 plocal은 'data를 disk에 적재하겠다', memory는 'data를 memory에 적재하겠다' 정도로 설명할 수 있고, Database type의 graph는 bidirectional edge를 갖기 때문에 관계 변화..
토네이도 프레임워크와 OrientDB를 사용하여 니마시니 NLP(Mnemosyne Natural Language Processing)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로 했는데, 그 첫단계로 OrientDB의 설치법을 작성하겠습니다. 우선 OrientDB의 다운로드 페이지인 http://orientdb.com/download-2/에 접속해서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 해제 후 폴더명을 변경하여 사용이 용이한 장소에 옮깁니다.또한 환경변수(windows - path, linux/osx - .bash_profile)에 OrientDB/bin 경로를 등록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저는 사용자 home에 위치시켰습니다. win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