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online
- mariadb
- 연동
- 알고리즘
- 파이썬
- ubuntu
- 연결
- 프레임워크
- 이클립스
- AWS
- Judge
- Java
- 배열
- API
- MongoDB
- OrientDB
- BAEKJOON
- r
- Python
- Framework
- 저지
- Tornado
- 토네이도
- spring
- 백준
- 설치
- 자료형
- 자바스크립트
- 오픈한글
- r script
- Today
- Total
맛동산
우선 IF문이란 조건의 참(true)과 거짓(false)에 따라 작성한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문임. if가 사전적으로 '만약'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글로 해석하여도 어느정도 그 의미를 알 수 있음 haveMoney = 3000 if haveMoney>=2000: print("택시를 타라") else: print("걸어가라") 보이는대로 해석한다면 2000원 이상 가지고있으면 택시를 타고 아니면 걸어가라 라고 해석할 수 있음. 정답임. C나 JAVA와 비교할 때, 파이썬은 { } 대신 들여쓰기로 영역을 구분하는점 이외에는 크게 다른점이 없음. 다음은 if문계의 hello world. 학점 조건문을 작성한 것임, 특별한 건 없고 문법정도 참고하면 될듯. 당연하게도 출력되는 값은 c. 기본틀만 알면 나머지..
집합 자료형은 s1 = set([1,2,3])과 같이 set()을 통해 만들 수 있음 s1 -> {1, 2, 3} s2 = set("Hello") s2 -> {'e','l','o','H'} 집합 자료형이 뭐냐 했을때, s2를 보면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음 다름이 아니라 수학시간에 교집합, 합집합 하던 그 '집합'임 집합 자료형의 특징으로 1.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 2.순서가 없다. 순서가 없다는말은 s1[2]와 같은 인덱싱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뜻임 그리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 느낌상 빅데이터 분석을 공부하기 시작하면 이 친구를 많이 쓸것같은 느낌이 확 듬 집합에 관한 함수가 몇가지 있지만 지금으로써는 낯설고 응용범위가 넓지않은 자료형이기 때문에 일단 여기까지 하고 넘어감
딕셔너리는 키(key)와 값(value) 쌍 형태로, dic = {'honey':'꿀', 'germany':'독일'}과 같은 형태로 나타냄 이건 JSON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있는데, 딕셔너리 = 사전. 말 그대로 honey라는 key를 찾으면 꿀이라는 value가 나옴. dic['honey'] -> '꿀' dic['korea']='한국'과 같은 형태로 쌍을 추가할 수 있음 ->{'honey':'꿀', 'germany':'독일', 'korea':'한국'} 동일한 key가 중복되면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무시됨. dic = {'hi':'안녕','hi':'곤니치와'}에서 dic['hi']를 호출하면 뭐가 나올지 예측할 수 없음. 앞에 있는게 먼저 나오는 그런게 아니라고함. a={1:'하나'}, b={(1,2,..